나스구축 2

자작 나스 만들기 - 소프트웨어편(헤놀로지)

nas용 컴퓨터는 준비되었고 이제 본격적으로 서버 컴퓨터로 만들어야 한다.헤놀로지(Xpenology)서버 컴퓨터로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 DSM(Disk Station Manager)은 헤놀로지다. 시놀로지에서 만든 DSM의 해적판인데 GPL 라이선스를 사용 중이라고 한다. 해적판이라서 그런지 여러모로 불안정하고 불완전한 소프트웨어긴 하다. 구글에 "헤놀로지 설치"를 검색하면 정말 많은 글이 나온다. 유튜브에도 나스 구축에 관한 영상 몇 개가 있다. 너무 다양한 방법이 있고 각자 다른 방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엄청난 혼돈이 왔다.나의 경우 3개의 방식으로 시도했었고, 최종적으로 아래 게시글을 참고한 방법으로 성공했다. 헤놀로지 설치 성공한 게시글 링크https://svrforum.com/nas/801694..

자작 nas 만들기 - 하드웨어편

매달 날아오는 aws 결제 메일(사실 몇 천원도 안 나옴), 용량 적은 무료 클라우드, 때문에 개인 서버를 가지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사실 위 두개는 애써 찾은 핑계고 내 서버를 가지면 멋지지 않을까라는 설렘에 nas를 구매하기로 결심했다.시놀로지 처음에 찾아본 것은 '시놀로지'. 개인용 나스를 검색하면 대부분 시놀로지 제품을 추천한다. 그 중에 처음 눈에 띈것은 DS120j. 나름 가격도 나스 중에서는 저렴하고(15만원) 개인용으로 쓸거라 괜찮지 않을까 생각했다. 근데 1베이로 구매로하면 HDD가 고장나면 모든 데이터를 날리게 된다는 무서운 이야기를 듣고 2베이 제품을 알아봤다. 그러는 참에 당근에서 DS220j를 15만원에 판다 글을 보고 바로 DS220j의 후기를 찾아봤다. 부정적인 후기로는 느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