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git

github 푸쉬 후 레포지토리에 폴더가 보이지 않는 문제 - master와 main의 차이

Kwangkki 2022. 12. 20. 22:32

강의에서 나온대로 git 커밋과 푸쉬를 진행해보았다.

github 사용은 여전히 어려운 것..ㅠ

 

터미널로 깃허브 업로드한 순서

1. git init

- 작업 폴더 내에 git 폴더 생성
2. git remote add origin (repository URL)

- git github를 연결
3. git add .

- git 폴더에 작업 내용 모두 추가
4. git commit -m '내 인생의 첫 잔디'

- 확정 저장 및 코멘트 작성
5. git push origin master

- origin 레포지토리의 master 브런치 작업 내용 업로드

 

여기까지 모두 입력하고 문제나 에러는 없었다!

근데 내 깃허브를 보니까 파일이 업로드 되어있지 않은 것 ㅠ

아무 폴더도 올라가지 않았다 ㅠ

README만 있고 push한 폴더나 파일이 없는 것 ㅠ

pull request가 뜨는 것을 보니 업로드는 완료된 것 같은데 도저히 못찾던 와중

이유를 알게 되었다.

 

 

바로 기본 브런치가 main으로 되어있어서 보이지 않았던 것!

강의에서 push 메세지가 master로 되어있었는데

나는 계속 main 브런치만 봤다 ..

 

둘다 dev가 아니라 배포용 브런치인 것 같은데 왜 두개로 나눠져있는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이런 이유가 있었다!

 

원래 깃허브는 master를 사용해왔지만 흑인 인권 운동에 발 맞춰 main으로 이름을 변경한 것!

주종관계를 의미하는 master나 slave 등의 단어를 지양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2020년 10월부터 신규 레포지로티는 master에서 main이 defalut로 변경되었다.

 

재미있는 개발 상식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