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한 것을 푸시하는데도 깃허브 잔디가 심어지지 않는다.
새로 레포지토리를 팔 때만 심기고 이후에 커밋이나 푸시를 해도 감감무소식. 다크모드라 깜깜무소식
잔디 안 심기는 건 못 참지. 바로 구글링을 해봤다.
찾아보니 크게 3가지를 체크해보라고 한다.
1. 토큰 확인
토큰 기간이 만료되어있을 수 있으니 체크해보라고 한다.
내 프로필 ->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 Persnoal access tokens -> tokens
위 경로로 들어가서 확인해보니 내 토큰은 유효기간이 없는 토큰이다.
예전에 기한 만료전 귀찮아서 무제한으로 바꿨던 기억이,,
근데 토큰이 없으면 푸시가 되나? 여튼 이 문제는 아닌 듯 하다.
2. Email, Name 확인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git 정보가 뜬다고 한다.
git config --list
여기서 user.email 과 user.name을 확인해서 내 깃허브와 일치하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깃허브 settings에서 내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나는 일치한다.
참고로 name은 깃허브 프로필에서 아래 적힌 부분이 name이라고 한다. 나 같은 경우는 MadHeo가 name이다.
나는 name도 email도 일치 한다.
3. defalut 브랜치 확인하기
깃허브는 기존에 master 브런치에서 main 브런치를 defalut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내가 이전에 정리한 글이 있다.
여튼, 레포지토리를 생성하면 아래와 같이 main이 default로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근데 나는 main이 defalut인 레포지토리에 master로 푸시 해왔던 것...
이것이 잔디가 안 심기는 이유였다.
바로 레포지토리 settings에서 master 브런치를 defalut로 바꿨다.
바꾸긴 했는데 그동안 날아간 잔디는 어쩔 ㅠ 하던 와중..
잔디를 보니 그동안 심기지 않았던 잔디가 한번에 촤라랅
'프로그래밍⚡️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허브 master -> master (non-fast-forward) 에러 (0) | 2023.01.23 |
---|---|
git의 시초를 파헤쳐 보았다.. 그리고 깃 push하기 (0) | 2023.01.23 |
github 푸쉬 후 레포지토리에 폴더가 보이지 않는 문제 - master와 main의 차이 (0) | 2022.12.20 |
맥북 m1 유니티 깃허브(Github) 깃크라켄(Gitkraken) 사용법 (0) | 2021.08.28 |
맥북 M1 간단한 unity gitignore 사용법 (0) | 2021.08.28 |